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애적 성향의 차이가 상담자의 역전이 행동 및 역전이 관리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Friedman과 Gelso(2000)가 개발한 것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다. 이 척도는 긍정적 역전이와 부정적 역전이 두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내적 합치도는. 83, 긍정적 역전이. 70, 부정적 역전이. 76으로 보고되었다. 긍정적 역전이 행동은 내담자에게 우호적이거나 지지적으로 보이지만 내담자의 문제를 회피하고 치료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행동으로 정의되며, 긍정적 역전이 행동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것 (Fiedman & Gelso, 2000)이라고 하고 있다. 부정적 역전이 행동은 내담자를 과도하게 비판하거나 벌하거나 거절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행동이며, 또한 치료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척도는 이전에 번안되어 긍정적 역전이와 부정적 역전이를 하위요인으로 구성하고 있던 것을 최근 김지은(2005)이 무관심/배척, 통제/훈계를 부정적 역전이 행동으로 과잉 지지를 긍정적 역전이 행동으로 세분화하여 3 요인 구조로 타당과 연구하였다. 김지은(2005)의 연구에서 역전이 행동 척도의 전체 내적 합치도는. 72였고, 하위요인별 내적 합치도는 무관심/배척. 79, 통제/훈계. 70, 과잉 지지. 7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통한 신뢰도 계수는 전체. 77, 무관심/배척. 74, 통제/훈계. 65, 과잉 지지. 53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기술통계, 내용 타당도를 위한 신뢰도 검증은 Cronbach의 α 계수를, 각 요인 간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자기애와 상담 과정에서의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표 2와 같다. 자기애의 과대 자기 측면에서 건강한 과대 자기 점수가 높은 사람은 하위요인 중 자기 통찰을 제외한 영역에서 역전이 관리능력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역전이 관리능력 중 상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자기 통찰은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나타내고 있다. 반면, 방어적 과대 자기 측면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건강한 과대 자기 측면과는 반대로 방어적 과대 자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 통찰, 공감 능력, 자기 통합, 불안 관리, 개념화기술에서 부적 상관의 형태를 보이며, 자기 통찰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애의 이상화된 부모 원상 측면에서 살펴보면, 과대 자기 측면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이상화된 부모 원상은 역전이 관리능력의 모든 하위요인과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을, 방어적 이상화된 부모 원상은 자기 통찰과 개념화기술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서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것은 자기애의 건강한 측면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높고, 자기애의 방어적 측면의 점수가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애와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표 3과 같다. 건강한 과대 자기 점수가 높을수록 역전이 행동 중에서 무관심/배척 영역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면서 역전이 행동을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 지지, 통제/훈계 영역은 유의미한 상관은 아니지만 보였다. 과대 자기의 다른 측면인 방어적 과대 자기 측면은 전반적으로 건강한 측면과는 반대로 정적인 상관을 보인다. 무관심/배척, 통제/훈계의 행동은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을 보이면서 방어적 과대 자기 점수가 높을수록 무관심/배척, 통제/훈계의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 지지 영역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정적 상관의 형태를 보였다. 이상화된 부모 원상 영역은 과대 자기 영역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측면은 유의미하지 않지만 모든 요인에서 부적 상관의 형태를 보였다. 또한 방어적 측면은 과잉 지지를 제외한 무관심/배척, 통제/훈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의 형태를 보이며, 과잉 지지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정적 상관의 형태를 보였다.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 Vol. 20 No. 4, 947-962.
가톨릭대 강소영, 한미선, 황숙양 학술지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감 성격테스트 MBTI 성격 궁합 링크 (0) | 2023.02.09 |
---|---|
붕어빵 성격테스트 먹는 순서에 따른 심리 테스트 (0) | 2023.01.27 |
행동과 관계를 중심 보고서 (0) | 2023.01.13 |
상담과정중 행동 (0) | 2023.01.13 |
자기애적 특성 (0)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