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의 예후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은 자기 행동에 대해 말하면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고 상대방은 그런 일을 당해봐야 한다고 말한다. 거짓말을 하면서 자기 행동에 책임지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사회적 행동한다고 전부 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아니다. 왜냐하면 신경증이나 정신병이 있을 경우에 증상 때문에 반사회적 행동하는 경우들도 있기 때문이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은 다른 사람들을 모욕이나 파괴적 행동을 통해 지배하려 한다. 이들은 쾌락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상대를 지배하려는 공격성을 가지고 있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은 자신이 속이고 숨겼던 옛날 일에 대해 말하면 그것은 지난 일이기 때문에 상관없다는 식으로 대응한다. 이것은 자신이 행한 행동을 분리해서 자신과 상관없는 일로 생각하는 방식이다.
반사회적 환자가 다른 사람에게 폭력이나 심한 가해를 한 경우, 뉘우침이나 합리화가 전혀 없는 경우, 지능이 높은 경우, 정서적 애착이 없는 경우 등은 치료가 어렵다.
환자들이 호전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사회적 환자들은 자신을 치료하는 사람을 위협할 수도 있다. 반사회적 환자들의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 중립적 태도를 취하는 것은 환자의 행동을 승인하는 것으로 오인될 수 있다. 환자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면 반드시 지적해야 한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 중에서 불안이나 우울증이 있는 경우는 치료에 잘 반응하고 예후가 좋을 수 있다. 우울함이 있는 경우는 자기 행동에 대해서 자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불안이 있는 것은 자기 행동을 걱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속된 일이 있거나 반복적인 거짓말을 하는 경우 등은 예후가 좋지 않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지속적인 장기 입원을 통해서만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에는 잘 통제되는 환경이 도움이 된다. 집단의 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히 제재한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을 대하는 사람들은 마음속에 환자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불신에 대한 부정이 나타나 환자가 생각보다 나쁘지는 않다는 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환자를 대하는 사람들이 환자를 돕고 있다는 생각에 불법적이거나 윤리적이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유혹당하여 환자와 성관계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 환자들은 눈물이나 슬픔 등으로 상대방이 자신에게 공감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반사회적 환자들을 대할 때는 그들의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서 그것이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계속해서 말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이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충동과 행동 사이에 생각을 개입시키도록 한다. 자신이 충동적으로 행동했을 때 어떤 결과가 될까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부모교육
자녀의 연령별, 성장 단계별로 올바른 지도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강화한다.
그럴 수 없을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대안적인 양육환경을 제공한다. 반사회적 환자가 다른 사람에게 폭력이나 심한 가해를 한 경우, 뉘우침이나 합리화가 전혀 없는 경우, 지능이 높은 경우, 정서적 애착이 없는 경우 등은 치료가 어렵다. 반사회적 환자를 치료할 때는 환자에게 사실을 직면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에 의해서 계속 속고 기만당할 것이다. 환자들은 상대를 속이면서 쾌감을 얻기도 한다. 반사회적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은 안정되고, 꾸준하며 정직해야 한다. 반사회적 환자의 생활에 깊이 개입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리고 환자가 행한 반사회적 행동을 그대로 지적해주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환자 스스로 자신이 남의 탓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 자신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사회적 환자들은 자기 행동과 감정을 분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자기 행동과 감정을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과거의 기억을 분석하는 것보다 이들을 지금 상황에 직면시키는 것이 더 좋다. 그리고 환자들이 호전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사회적 환자들은 자신을 치료하는 사람을 위협할 수도 있다. 반사회적 환자들의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 중립적 태도를 취하는 것은 환자의 행동을 승인하는 것으로 오인될 수 있다. 환자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면 반드시 지적해야 한다. 전인치료 : 목회자. 의사(정신과). 심리상담사가 함께 노력하여 내면의 영과 육과 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전인치료를 통하여 단절된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시 연결하도록 한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정중 행동 (0) | 2023.01.13 |
---|---|
자기애적 특성 (0) | 2023.01.13 |
정신과 내담자 치료방법 (0) | 2023.01.12 |
반사회적 인격장애 진단 조건 (0) | 2023.01.12 |
성격장애 원인 (0) | 2023.01.11 |
댓글